본문 바로가기
정책, 뉴스

청년월세특별지원, 신청 자격과 신청 방법은?(2025년 최신)

by record_with 2025. 2. 5.

 

많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청년월세특별지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2025년에도 청년월세특별지원은 계속 진행될 예성이며, 1차 사업에 참여했던 분들도 재신청이 가능하니 이번 글에 주목해 주시길 바랍니다.
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
1. 청년월세특별지원, 왜 중요한가?

최근 몇 년간 급격하게 상승한 월세는 청년들의 주거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.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청년월세특별지원을 통해 월세 일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
2. 청년월세특별지원, 지원금액
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
  • 월 최대 20만원, 최대 24개월
  • 실제 월세 범위 내에서 지원
  • 임차보증금, 관리비 등은 제외 후 지원

 

3. 청년월세특별지원, 신청자격
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
  • 연령: 만 19세 ~ 34세
  • 소득: 청년 가구는 중위소득 60% 이하이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% 이하
  • 자산: 청년 가구 1.22억 이하, 원가구 4.7억 이하
  • 주거: 부모님과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, 월세거주 등
  • 기타: 청약통장 가입 필수 (2024년부터 추가된 조건)
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
본인이 신청자격이 되는지는 복지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모의서비스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

4. 청년월세특별지원, 신청방법
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
  • 신청방법 : 복지로 홈페이지(온라인), 거주지 행복복지센터
  • 신청기간 : 2025년 2월 25일까지
  • 방문신청 시 청년 본인이 직접 방문하는 것이 원칙이나, 대리 신청 가능(위임장, 대리인 신분증 지참)

청년월세특별지원은 복지로 홈페이지(온라인), 거주지 행복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 신청기간이 곧 임박하니 서두르세요!

 

5. 청년월세특별지원, 지원제외대상
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
  • 주택 소유자(분양권, 입주권 포함)
  • 부모, 형제, 자매 등 2촌 이내 혈족의 주택 임차하여 거주 중인 경우
  • 공공임대주택(공무원임대주택 포함)에 거주 중인 경우
  • 국토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청년월세를 지원받고 있는 경우
  • 셰어하우스로 여러 명이 공동 임차하는 경우(단, 개별 계약이 있으면 가능)

단, 청년월세 지원을 받고 있는 경우 지원이 종료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

★250110_2025 청년월세 특별지원 사업 매뉴얼_지원기간 확대.pdf
1.61MB

▲ 2025 청년월세특별지원(2차) 사업 매뉴얼 (출처: 국토교통부)

더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매뉴얼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청년월세특별지원 2025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청년월세특별지원 2025

청년월세특별지원은 주거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입니다. 자격 요건에 해당된다면 꼭 신청하여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.